보도자료

홍보센터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KG이니시스는 연결기준 2분기 영업이익이 25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33.9%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2분기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7.0% 늘어난 1903억원을 기록했다.

KG이니시스의 연결기준 상반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3826억원, 484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각각 7.3%, 24.5% 증가했다. 회사 관계자는 “2분기 역시 코로나19 영향으로 여행 및 항공, 티켓 업종에서 매월 3000억원의 거래액이 줄어들며 매출에 일부 타격이 있었지만, 해외가맹점과 중소형가맹점, O2O(온라인 기반 오프라인)서비스 업종이 견조한 실적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KG이니시스의 해외가맹점 거래액은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80%, 중소형가맹점 거래액은 30% 증가했다. 이들 가맹점의 거래액 상승 추세는 계절적 성수기에 접어드는 하반기에는 성장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KG이니시스는 비대면 구매가 일상화됨에 따라 하반기에는 주력 서비스인 `언택트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신규 영역으로 사업 확대를 지속하겠다는 방침이다. 회사는 최근 QR코드를 기반으로 하는 테이블오더 서비스가 확산되는 추세에 따라 전국 1500여개 이상의 가맹점을 운영 중인 국내 대형 외식브랜드 본사와 테이블오더 서비스 정식 계약을 체결하는 등 테이블오더 서비스 이용 가맹점 확대에 나서고 있다. 테이블오더 서비스를 이용하면 매장 방문 없이도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하며, 현장에서는 QR코드를 통한 대기와 현장결제를 할 수 있다.

KG이니시스 관계자는 “이달 내로 무인편의점 내 결제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비대면 거래를 오프라인으로 확장하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온·오프 통합결제를 통한 거래 건수와 매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지난달 금융당국이 발표한 `디지털금융 종합 혁신방안`에 따라 새로운 디지털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지급결제사업자`로 거듭날 수 있도록 충분한 자기자본과 전산역량 등을 갖추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73046625864040&mediaCodeNo=257&OutLnkChk=Y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국내 전자결제 1위 업체 KG이니시스는 오픈뱅킹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KG이니시스의 간편계좌이체서비스 내 오픈뱅킹이 도입됐으며, 고객은 온라인 결제 단계에서 사용하는 은행의 계좌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오픈뱅킹 서비스 이용 동의 후 계좌를 한번만 등록하면, 별도의 OTP나 보안카드 없이 비밀번호 인증만으로 계좌 결제가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오픈뱅킹을 통한 간편계좌이체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면서 KG이니시스의 가맹점은 이용자에게 보다 저렴한 수수료로 더욱 다양하고 간편한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KG이니시스는 영세·중소 가맹점에게 오픈뱅킹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의 이익 향상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KG이니시스 관계자는 “업계 최초로 오픈뱅킹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그동안 유통사 페이업체를 위주로 성장한 간편계좌이체 서비스를 중소형 온라인 사업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KG이니시스는 가맹점 중심적 관점에서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결제 서비스를 도입해 결제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G이니시스는 오픈뱅킹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서비스의 기능과 범위를 지속적으로 고도화시켜 가맹점 매출 증진과 편의성 확대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KG이니시스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원격진료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한 메디히어에 원격진료 전용 결제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기로 했다. 메디히어는 국내 최초 원격 화상진료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기업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정부가 한시적으로 원격진료를 허용하자 미국에서 시작한 원격진료 플랫폼을 지난 3월 국내에 무료로 출시했다. 환자들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메디히어 앱을 통해 의료진과 원격진료를 통해 상담과 처방을 받을 수 있으며, 원격진료 후 진료비용은 대면진료와 동일하며 KG이니시스 결제시스템을 통해 등록한 카드로 결제된다.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066406625797784&mediaCodeNo=257&OutLnkChk=Y

메디히어, 코로나19 확산 방지 원격진료앱 출시…원격진료 누적 7000건
“언택트 비즈니스 플랫폼에 최적화된 결제서비스 제공”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국내 전자결제 1위 업체 KG이니시스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원격진료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한 메디히어에 원격진료 전용 결제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KG이니시스와 메디히어는 국내 의료보험체계와 원격진료에 최적화된 전용 결제시스템을 구축했다. 메디히어는 국내 최초 원격 화상진료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기업으로, 코로나19 확산으로 정부가 한시적으로 원격진료를 허용하자 미국에서 시작한 원격진료 플랫폼을 지난 3월 국내에 무료로 출시했다. 환자들은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메디히어 앱을 통해 의료진과 원격진료를 통해 상담과 처방을 받을 수 있으며, 원격진료 후 진료비용은 대면진료와 동일하며 KG이니시스 결제시스템을 통해 등록한 카드로 결제된다.

김기환 메디히어 대표는 “메디히어는 원격진료가 가능한 미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기에 국내 의료시스템에 맞지 않는 해외결제만 준비돼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코로나19 확산 저지를 위해 한국 내 원격진료 서비스 도입이 빠르게 이뤄지더라도 국내 의료시스템에 맞는 결제수단 제공이 어려워 고민이 많았다”고 설명하며 “메디히어 플랫폼 내 KG이니시스와 협업해 국내 의료시스템과 원격진료 시스템에 최적화된 원격진료 전용 결제시스템을 만들고, 코로나19 감염 위험 없이 필요한 진료를 제때 받고 결제시에도 차질 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실제 코로나19 발생 이후 감염 우려로 병원을 찾는 환자 수가 최대 90% 급감한 상황에서 메디히어는 서비스 시작 초기임에도 누적 7000건 이상의 원격진료가 이뤄졌다.

KG이니시스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원격진료 및 교육, 핀테크, 모바일 오더 등 새롭고 다양한 언택트 기술 방식이 도입되고 확산되며 결제시스템 연동에 대한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다”며 “KG이니시스는 언택트 비즈니스 플랫폼에 최적화된 결제서비스를 제공해 새로운 환경에서도 편리하고 혁신적인 결제가 가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언택트 기업과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비즈니스가 확산되는데 최대한의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011046625768592&mediaCodeNo=257&OutLnkChk=Y

전자결제 업체 KG이니시스가 코로나19 확산세에도 불구하고 2020년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2409억원, 영업이익 228억원의 호실적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액 5.6%, 영업이익은 8.6% 증가한 수치이다.

별도 실적은 매출액 1267억원이다. 전년 대비 11.5% 증가했다. 영업 이익은 110억원으로 6.3% 늘었다. 코로나19 영향에 따라 여행과 공연 등 일부 업종의 부진과 전체적인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성장을 이루었다는 평가다.

KG이니시스는 “2020년 매출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었던 여행 및 항공, 티켓 영역의 거래액이 코로나19 영향으로 급감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온라인 시장의 소비 증가와 O2O 및 콘텐츠 서비스 업종의 성장이 1분기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코로나19 국내 확진자 수가 둔화됨에 따라 KG이니시스의 주요 고객사인 여행 및 항공, 공연 업종에서 월 3000억원 누적된 소비심리 이연 수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힘입어 하반기에는 가파른 실적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다.

연결 자회사인 KG모빌리언스는 올해 2월 완료된 올앳 합병 효과로 인해 매출액 370억원, 영업이익 9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3.2% 9.9% 증가했다. KG모빌리언스는 올앳 흡수합병으로 신용카드 PG 시장 내 공격적인 영업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어 주력사업인 휴대폰 결제 시장에서 소액결제 한도 상향 등 우호적인 영업환경이 조성되면서 2분기에도 호실적으로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연결 자회사인 KFC코리아는 코로나19에 따른 영향을 피해 갈 수 없었다. 1분기 매출액은 488억원으로 전년 대비 1.4% 감소하며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했다. 딜리버리 서비스 매출 증가에도 불구 오프라인 매장과 야구장 등 공공시설 내 매장 영업에 어려움을 겪으며 예상치보다 악화된 실적을 기록했다. 생활 방역 체계로 전환된 5월부터 매출 확대를 위한 신메뉴 출시, 신규 매장 확대 및 적자 매장 조정 작업 등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KG이니시스는 하반기에도 언택트 소비 확대로 전자결제업은 계속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또 다양한 신규 영역으로 영업 확대를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하반기 영업 및 연동이 완료된 신규 고객사인 항공, 여행, 티켓 업종의 거래가 회복되는 3분기부터는 30% 이상의 성장을 예상했다. 교육, 외식 업종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약화됨에 따라 빠른 시간 내 정상화 궤도에 오를 전망이다.

유진상 기자 jinsang@chosunbiz.com

출처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07/2020050702385.html

 

 

정산하는 놈! 외국어 하는 놈! 계약하는 놈!

정산팀,GB팀, 온라인계약팀이 한 곳에 뭉쳤다!

 

KG이니시스를 이끄는 막내 어벤저스의 솔직담백한 온라인 결제썰부터 회사생활까지~

 

그들이 이야기하는 유쾌한 온라인 결제썰을 지금 영상으로 확인해 보세요.

 

 

수 많은 PG사 중 KG이니시스를 선택해야 하는 이유! 신규사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온라인 결제썰 그 마지막 이야기를 지금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온라인 사업에 있어서 KG이니시스가 얼마나 중요한 존재인지 알고 계시나요?

지난 영상에 이어 KG이니시스 훈남훈녀 직원들이 다시 한 번 더 직접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바로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온라인 사업을 시작했지만, 결제 방법과 정산 방법은 어떻게?

온라인 결제에 대한 모든 궁금증을 KG이니시스 훈남훈녀 직원들이 직접 알려드립니다!

지금 바로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이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내 브랜드의 간편결제 서비스, WPAY

KG이니시스와 함께라면 순식간에 우리 페이가 뙇!

 

 

오픈형페이 시스템, WPAY에 대한 모든 것!
KG이니시스 직원이 직접 알려드립니다.

 

[이데일리 이후섭 기자] KG이니시스(035600)는 글로벌 신용카드 데이터 보안인증’PCI DSS V3.2.1’인증을 획득했다고 1일 밝혔다.

PCI DSS(Payment Card Industry Data Security Standard) 인증은 비자, 마스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JCB 등 글로벌 카드사에서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협의회를 설립해 공동 개발한 국제 데이터 보안표준 인증이다. KG이니시스는 지난 2014년 업계 최초로 PCI DSS 인증을 획득한 이래로 7년 연속 인증 획득을 유지하고 있다.

이번에 획득한 PCI DSS 인증을 통해 KG이니시스는 인증 범위를 주요 사업인 PG서비스와 온·오프라인 VAN 서비스, 카드본인인증 서비스(CVS) 뿐만 아니라 전산센터, 가산, 대전 DR센터까지 포함했다.

KG이니시스는 △네트워크 보안 △카드소유자 데이터 보호 △취약점 관리 △강력한 접근통제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테스트 △엄격한 보안정책 등 12개 주요 영역엣어 415개 항목을 심사받아 가장 높은 레벨1단계 인증을 획득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KG이니시스 정보보호팀 관계자는 “국제 기준의 엄격한 검증을 통해 KG이니시스의 결제 시스템과 VAN 서비스를 포함한 사업 영역이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보호체계를 인증받았다”며 “정보보호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노력을 통해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핀테크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www.edaily.co.kr/news/newspath.asp?newsid=04004886625731856